깨진 유리창 이론 알려드리고자 합니다. 깨진 유리창 이론 외에도 깨진 유리창 이론을 활용한 범죄예방 환경 설계 또한 알려드리고 있습니다. 이 글을 다 읽으시면 깨진 유리창 이론 이해하시게 될 것이며 범죄예방 환경 설계 알게 되실 겁니다. 깨진 유리창 이론 및 범죄예방 환경 설계가 궁금하신 분들은 끝까지 읽어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.
깨진 유리창 이론이란?
깨진 유리창 이론은 깨진 유리창을 방치해 두면 그 부분을 중심으로 범죄가 확대된다는 범죄 심리학 이론입니다. 이는 사소한 문제를 방치해 두면 나중에 확산하여 더 큰 범죄를 일으킬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 1982년 미국의 범죄 심리학자 제임스 윌슨과 조지 켈링이 공동 발표한 이론으로, 실험을 통해서도 확인해 볼 수 있었습니다.
인적 드문 골목길에 차량 두 대를 주차해 두고 한 차량만 앞 유리창을 깨트려놓은 채 관찰한 결과, 앞 유리창이 깨져있던 차량만 더 파손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. 이러한 깨진 유리창 이론은 사회 곳 곳에서도 반영되고 있습니다. 대표적인 예시로는 치안이 좋지 않았던 지하철역에 지하철 내 낙서를 지우고 환경을 개선한 결과 지하철 내 범죄가 감소하였다는 사례가 있습니다. 이처럼 깨진 유리창 이론은 범죄 예방 환경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.
범죄예방 환경설계
범죄 예방 환경 설계는 건축 환경을 계획할 때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삶의 질을 높이도록 연구하는 분야입니다. 이는 다른 말로셉테드(CPTED)라고도 부릅니다. 셉테드는 기초 설계 단계부터 범죄 예방을 위한 환경설계를 하는 건축설계기법입니다. 대체적으로 5가지 전략을 활용하게 되는데,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- 자연스러운 감시 : 자연스러운 감시는 건물 또는 시설물을 배치할 때 시야가 가려지지 않도록 조정함으로써 사람들이 최대한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합니다. 이는 공공장소에서 자연적인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범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.
- 자연스러운 접근 통제: 자연스러운 접근 통제는 보호되어야 하는 곳의 출입을 제어하여 범죄를 저지르기 어렵게 합니다. 보행로, 출입문 등을 노출시켜 오히려 범죄 행위를 하기 어렵도록 합니다.
- 영역성 강화 : 영역성 강화는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을 구분 지어 인식하게 함으로써 소속감과 안정감을 부여하며, 범죄 행위를 하기 어렵게 합니다.
- 활동의 활성화 : 활동의 활성화는 사람들이 어울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, 사람들의 자연스러운 감시 영역이 되도록 합니다.
- 유지와 관리 : 유지와 관리는 깨진 유리창 이론과 비슷한 원리로, 환경을 깨끗하게 관리하고 유지함으로써 범죄 욕구를 차단시키는 기법입니다.
깨진 유리창 이론 및 범죄예방 환경설계 요약
깨진 유리창 이론을 쉽게 정리해 보면 건물의 유리창 하나가 깨진 채로 방치되어 있다면 곧 다른 유리창들도 깨질 것이라는 이론입니다. 유리창이 깨져 방치되어 있다면, 다른 유리창 또한 깨져도 무관하다고 생각하게 되기 때문입니다. 일상에서도 길거리에 쓰레기가 많이 버려져있다면 쓰레기가 아예 없어 깨끗할 때보다 더 버리기 쉬워집니다. 벽화 거리, 꽃거리, 깨끗한 거리 만들기 등과 같은 활동은 깨진 유리창 이론과 연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.
이상으로 깨진 유리창 이론 및 범죄예방 환경설계 알려드렸습니다. 깨진 유리창 이론에서 비롯한 범죄예방 환경설계가 우리의 삶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. 아무 생각 없이 지나칠 수 있지만, 주변 환경에는 알게 모르게 범죄 예방 환경설계가 적용되어 있습니다. 세심한 관찰을 통해 이 공간은 왜 이렇게 조성되었을까? 하는 의문을 품고 생각해 보는 것도 의미 있을 것 같습니다.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, 댓글, 구독을 부탁드립니다.
'심리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에니어그램을 통한 성격유형 검사 방법 (0) | 2023.01.14 |
---|---|
초두효과를 활용한 좋은 인상 남기는 법 (0) | 2023.01.14 |
인지부조화 의미 및 사례를 알아보자 (0) | 2023.01.11 |
칵테일파티 효과와 활용 사례 알아보기 (0) | 2023.01.09 |
방어기제의 개념 및 종류 알아보기 (0) | 2023.01.09 |
댓글